
제목 | 서울과기대 안지환 교수팀, 최신 반도체 공정 활용한 신개념 연료전지 촉매 개발 | ||||
---|---|---|---|---|---|
작성자 | 홍보실 | 조회수 | 1201 | 날짜 | 2021-03-10 |
첨부파일 | |||||
[자료문의〕서울과학기술대학교 기술경영융합대학 MSDE학과 안지환 교수(☎ 02-970-7276)
□ 연료전지는 최근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수소 기반 경제 및 수소 전기차의 핵심 시스템으로써, 높은 효율로 전기 에너지 변환이 가능하면서도 환경적으로 청정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최근 활발한 연구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 귀금속 소재 기반의 촉매층은 연료전지 막(MEA)의 핵심 요소로써, 이의 성능과 내구성을 동시에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귀금속 소재의 높은 가격을 고려할 때, 귀금속 함량을 최소화하면서도 촉매 성능을 향상시키는 연구가 필수적으로 여겨진다.
□ 안지환 교수팀은 다공성의 세륨 산화물 지지구조 상에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루테늄(Ru) 나노 촉매 입자를 제작하였다. 플라즈마 원자층 증착법은 최신 반도체 공정 중의 하나로 플라즈마를 활용하여 박막이나 나노 입자를 원자층 단위로 정밀하게 증착할 수 있는 기술이다.
□ 극소량(< 0.01 ㎎/㎠)의 귀금속을 사용하면서도 메탄 변환 성능이 우수한 촉매 구조 및 공정을 개발하였는데, 기존의 물리적 증착 공정을 이용하여 제작된 촉매 대비 귀금속 사용량이 1/20 이하에 불과함에도 장시간 구동시 70% 이상 전극 성능이 개선됨을 보였다. 또한 메탄 구동 시 성능 악화의 원인이 되는 탄소 침적을 1/3 수준으로 낮췄다.
□ 안지환 교수는 “우리나라의 차세대 성장동력인 반도체 분야와 에너지(연료전지) 분야 간의 기술 융합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할 수 있음을 보인 사례”라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다.
□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신진연구자지원사업 및 한일협력연구사업) 및 전남지역사업평가단(튜닝부품 선도기업 맞춤형 지원사업, 주관기관:아이비머티리얼즈)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으며, 연구개발 결과는 미국 화학회(American Chemical Society)에서 발간하는 물리화학 분야 최우수 저널인 ACS Catalysis (IF 12.35) 온라인판에 출판되었다.
붙임. 관련 사진 3부. 끝.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