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메뉴
메뉴
seoultech
create your dream
대학소개

연구성과

연구성과
 대학소개 홍보관 연구성과
연구성과 게시글 확인
제목 인공지능응용학과 김성은 교수 연구팀, HCI 분야 Top conference ‘CHI 2025’ 논문 발표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597 날짜 2025-05-07
첨부파일

인공지능응용학과 김성은 교수 연구팀(https://brainailab.com, 정승규 석사과정)이 인간-컴퓨터 상호작용(Human-Computer Interaction, HCI) 분야 Top conference인 CHI 2025의 Late-Breaking Work (LBW) 섹션에 논문이 채택되었다. ACM 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CHI)는 HCI 분야 세계 최고 권위의 국제학술대회로, 지난 4월 26일부터 5월 1일까지 일본 요코하마 FACIPICO에서 개최되었다. 올해 LBW 섹션의 논문 채택률은 32.83%로, 높은 경쟁률을 뚫고 선정된 연구 성과다.

 

이번 논문 제목은 “iMedic: Towards Smartphone-b a s ed Self-Auscultation Tool for AI-Powered Pediatric Respiratory Assessment”으로 정승규 석사과정의 주도하에 서울 최대 소아청소년과 전문병원 우리아이들병원과 협업하여 진행되었다. (https://dl.acm.org/doi/10.1145/3706599.3719915)

 

연구팀은 스마트폰의 마이크를 활용하여 어린아이의 폐소리를 측정하고, 이를 기반으로 폐 건강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인공지능 기술을 개발하였다. 또한, 해당 기술을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으로 구현한 iMedic 앱을 개발하여 테스트를 진행했다. 인공지능 기술 개발에서의 가장 큰 난관이었던 스마트폰의 마이크로 측정된 폐소리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연구팀은 기존의 전자청진기로 수집된 방대한 데이터를 통합하여 학습하는 도메인 일반화(Domain Generalization) 기법을 적용했다. 이를 통해 데이터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 인공지능 모델의 성능을 개선하는 데 성공했다. 이러한 기술적 기여는 스마트폰 기반 건강 모니터링의 정확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개발한 iMedic 어플리케이션 동작 흐름도

 

김성은 교수는 “본 연구는 가정에서도 간편하게 어린아이의 폐 건강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며, “앞으로도 스마트 헬스케어 분야에서 인공지능을 활용한 혁신적인 연구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연구팀의 이번 논문 발표는 스마트 헬스케어 및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분야에서 인공지능의 활용 가능성을 한층 확장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목록
담당부서 : 홍보실 전화번호: 02-970-6994
인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