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서브메뉴 바로가기
메뉴
메뉴
seoultech
create your dream
대학소개

대학뉴스

대학뉴스
 대학소개 홍보관 대학뉴스
대학뉴스 게시글 확인
제목 경영학과 현지원 교수, 고용 조정 성별 격차에 관한 연구로 FT50 학술지 Review of Accounting Studies에 논문 게재
작성자 홍보실 조회수 8439 날짜 2024-11-21
첨부파일

경영학과 현지원 교수가 한국 상장기업의 고용조정 성별 격차에 관한 논문 “An Empirical Analysis of Gender Differences in Asymmetric Labor Adjustment: Evidence from Korea”를 FT50 journal인 Review of Accountig Studies에 게재하였다(공저자: 경희대 조미옥 교수, 서울대 이우종 교수, 세종대 선우희연 교수). FT50 학술지는 Financial Times에서 전세계 경영대학의 연구 순위를 결정하는데 사용되는 학술지 50개를 의미하며, 경영학 모든 세부전공 및 일부 경제학 전공의 top3~5 학술지를 포함하고 있다.

 

 

#Emp: log-change in the number of employees (# of employeest – # of employeest-1)

LnSales: log-change in sales revenue (salest – salest-1)

 

 

이 연구는 한국 상장기업의 성별 고용 공시자료를 활용하여, 한국 기업의 고용조정이 성별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그 결과 유리천장(glass ceiling)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적이 악화되는 상황(매출액 감소)에서 한국 기업들은 여성 직원을 남성 직원보다 더 많이 해고하지만, 실적이 개선되는 상황(매출액 증가)에서 채용에는 성별 차이가 없었다. 이 고용 조정 성별 격차는 매출액이 3년 연속적으로 감소할 때까지 지속되고, 매출액이 4년 연속 감소할 때부터 해소되었다. 다양한 횡단면 분석 결과, 의사결정자의 차별(statistical discrimination)과 성별 직업 분리(gender job segregation)* 현상이 통합적으로 이 성별 격차에 영향을 끼쳤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이러한 고용행태의 성별 차이가 여성 직원의 짧은 근속연수로 이어졌고, 장기적으로는 여성 임원 부족(glass ceiling)으로 이어짐을 실증적으로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일반 직원 단위에서 고용 조정 성별 격차의 증거와, 직원의 성별 격차가 어떻게 유리천장으로 이어지는지 구체적으로 증거를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공헌점이 있다.

 

*급여가 낮은 직업군에 여성이 집중되는 현상

 

https://doi.org/10.1007/s11142-024-09859-z

목록
담당부서 : 홍보실 전화번호: 02-970-6994
인쇄